건설사 줄줄이 부도…다시 커지는 ‘4월 위기설’

건설사 줄줄이 부도…다시 커지는 ‘4월 위기설’

두 달 새 폐업도 565곳…부동산 침체로 자금난 가중 “법정관리” 솔솔


부동산시장 침체로 건설업 위기가 본격화하면서 지방 건설사들이 생존의 기로에 놓였다. 새해 들어 지역 건설사 5곳이 부도가 났고, 건설업 등록 면허를 자진반납하며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도 늘었다. 지방을 거점으로 삼던 건설사들이 미분양에 자금난을 겪으면서 건설업 전반이 휘청거리고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총선이 끝나는 오는 4월 중견 건설업체들이 대거 법정관리에 들어갈 것이란 ‘4월 위기설’이 돌고 있다.

18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5일까지 부도가 난 건설업체는 총 5곳이다. 이들 업체는 모두 광주·울산·경북·경남·제주 지역을 거점으로 둔 전문건설사이다. 폐업한 건설사도 늘었다. 지난 1월1일부터 2월18일까지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64곳, 전문건설사는 501곳으로 총 565곳에 달했다. 부동산 활황기던 2021년 폐업한 업체가 361곳이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 폐업 업체 수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지역 내 우량기업으로 취급받던 종합건설사도 자금난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울산 내 토목건축업 1위를 차지한 부강종합건설은 지난달 법원의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회생 절차를 정식으로 시작하기 전 채무자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조치다. 지난달 법원 공고에 따르면 부강종합건설 외에도 영동건설(시공능력평가 176위)을 포함한 종합건설사 최소 4곳이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4월 총선 이후 중견·중소업체들이 무더기로 법정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는 ‘4월 위기설’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32위 신세계건설은 2022년 11월 일반분양한 대구 수성구 빌리브 헤리티지 아파트 146가구 중 25가구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준공 후 미분양’ 물량으로 남겼다. 최근 이 물량을 공매로 넘겼지만 3차례 전량 유찰되며 유동성 확보에 실패했다. 신세계건설은 레저사업 부문을 조선호텔앤리조트에 매각한다고 공시했다.

시공능력평가 99위인 한국건설은 최근 광주 신안동(1월31일)과 궁동(2월6일) 오피스텔 현장에서 보증사고를 연달아 일으켰다. 두 현장은 모두 예정 공정률에 못 미친 상태로 한국건설이 사업포기각서를 제출해 보증사고로 이어진 경우다. 한국건설은 이외 광주의 다른 2개 현장에서도 중도금 대출 이자를 납부하지 못한 상태라 보증사고가 더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악성 미분양’ 급증
사업 포기도 속출

이 밖에도 건설사의 법정관리행은 올해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지역 건설사의 자금난을 키운 미분양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물량은 전월 대비 7.9% 늘어난 6만2489가구로 집계됐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도 1만857가구에 달했다.

모 지역 건설사 관계자는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는 증권가 지라시를 보면 자체적으로 부채를 해결하기 어려운 상태의 건설사들이 대거 포함됐다”면서 “시공평가 100위권 안의 건설사들이 실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하도급, 재하도급 등 업계 전체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업이 얼어붙으면서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 자진반납 건수는 843건으로 집계를 시작한 1995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식
전편:3번 발사 실패한 인류 최대 로켓 ‘스타십’, 5월초 다시 우주행 시도
다음 편:임영웅 티켓 1장 500만원… 벌금 1000만원으로 암표 근절 가능할까? [미드나잇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