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점 기증한 최종태 조각가 “90 넘어 예술과 종교, 하나 됐다”

157점 기증한 최종태 조각가 “90 넘어 예술과 종교, 하나 됐다”


서울 중구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의 기증실에서 만난 최종태 조각가. 가장 한국적인 종교 조각을 개척한 것으로 평가되는 그가 최근 주요 작품 157점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 기증하면서 이 박물관에 기증실이 마련됐다. 장진영 기자
두 손을 턱 아래 모은 소녀가 애틋한 표정으로 서 있다. 한국 치마저고리를 단순화한 차림새에 곁들인 날개가 ‘천사’라는 걸 알린다. 또 다른 조각상은 아이들의 장난감 블록을 조립한 듯 눈·코·입만으로 절제된 형상이지만 ‘기도하는 사람’의 경건함이 배어난다. 장승인 양 반듯하게 깎아 매만진 ‘성모자상’에선 종교와 국경을 초월하는 어머니의 사랑이 와닿는다.

전통 미감을 계승하고 현대화해 가장 한국적인 종교 조각을 개척한 것으로 평가되는 최종태(92·서울대 명예교수) 작가의 작품들이다. 그가 1970년대부터 꾸준히 창작해온 성모상·성모자상·십자가상과 2000년대 이후 다채롭게 시도한 채색 목조각, 회화, 드로잉 등이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이하 박물관)에 한데 모였다. 최근 박물관과 협의에 따라 50여년 작업 세계를 가늠하는 작품 157점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 기증하면서다. 박물관은 지하 1층에 기증실을 마련하고 지난 15일 ‘영원을 담는 그릇’으로 이름지은 기념전의 개막식을 열었다.
최종태 조각가의 '천사'. 1970년대 작품으로 이번에 천주교 서울대교구에 기증된 157점 중 하나다. 사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작품 둘 자리를 마련해준다고 해서 아낌없이 내줬다”고 하는 그를 개막식에 앞서 13일 기증실에서 만났다. 청력이 떨어진 백발의 작가는 대화에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지팡이를 짚은 채 전시 준비 상태를 꼼꼼히 둘러봤다. “작품에서 장욱진(1917~1990)의 화풍이 느껴진다”고 말을 건네자 눈을 반짝이며 반가움을 드러냈다. “내게 스승이 세분 있는데, 중학교 때 나를 미술로 이끈 선생님 외에 두 분이 (서울대 조소과에서 사사한) 김종영(1915~1982)·장욱진이다. 그렇게 깨끗하게, 평생 예술만 하신 분들이 없다. 나도 그분들과 어울리려 다른 욕심 안내고 살았다.”

1932년생인 그는 해방 후 미대에서 전공한 첫 세대다. “내 선배들은 식민지 시대에 일본인한테서 서양 미술을 배웠다. 그렇게 안 하려고 조상들은 어떻게 했을까 하며 우리 미술을 보게 됐는데, 그 중 으뜸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립중앙박물관)과 석굴암 본존불이더라. 아무리 비너스(그리스)가 아름다워도 모자를 벗게 되진 않지만 반가사유상 앞에선 그 누구라도 경건해진다. 그래서 나는 ‘정신적인 것을 하겠다’ 마음먹었다.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최종태 조각가의 '기도하는 사람'. 대리석 작품으로 이번에 천주교 서울대교구에 기증된 157점 중 하나다. 강혜란 기자
특히 1973년 절두산 성지에 ‘순교자들을 위한 기념상’을 만들면서 가톨릭 조각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 현재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초입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으로 1866년 병인박해 때 순교자의 가족상이다. 극도의 절제된 형태로 인간과 영원을 탐구하는 방식을 이때부터 확인할 수 있다. “1958년에 영세 신자가 됐어도 종교를 작품에다 대입하려고 안 했다. 그냥 내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었다. 80년대부터 (요청에 따라) 성당 미술을 많이 하면서, 성당 미술은 토착화하고 불교 미술은 현대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 미감이 잘 드러난 게 성북동 길상사의 관음상(2000)이다. 마치 성모마리아를 연상시키는 단아한 입상이 신라 불상 특유의 삼산관을 쓰고 있다. 오랫동안 관음상을 만들고 싶어 하던 차에 법정(1932~2010) 스님 요청으로 빚은 작품이다. “김수환 추기경한테 물어보기도 했다. 내가 불상 만들면 파문할 거냐고. 그랬더니 추기경이 ‘일본에서 천주교 박해 때 신자들이 관음상을 놓고 기도했다’면서 걱정 말라고 했다. 법정 스님의 요청을 받고 3시간 만에 뚝딱 형상이 나왔다.”

명동성당 예수상(1987) 등을 비롯해 숱한 성상(聖像) 조각을 했지만 “종교와 예술이 90이 되어서 만나는 것 같다”고 했다. “젊었을 땐 소녀상을, 80년대 이후로 성당 조각을 하면서 성모상을 했는데, 90 되면서 기도하는 사람으로 바뀌었다. 서양에서 200년 전 예술이 종교로부터 갈라섰다. 젊어서 그게 고민이었고, 언젠가 내 안에서 자연스럽게 만나면 좋겠다 했는데 이제 편안하다.”

최근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에 작품 157점을 기증한 최종태 조각가(오른쪽)가 15일 기증 기념전시 개막식에서 정순택 대주교(서울대교구장)에게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최근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에 작품 157점을 기증한 최종태 조각가(왼쪽)가 15일 기증 기념전시 개막식에서 박물관의 원종현 야고보 관장신부와 포즈를 취했다. 강혜란 기자
편안한 마음에 작업도 즐겁다고 한다. 새벽 4시30분쯤 기상해 식사 시간 빼고 10시간을 내리 작업한다. “그렇게 일주일 하면 지쳐서 열흘 쉬어야지. 그래도 몰입하는 동안은 힘든 줄을 몰라. 작품엔 끝이 없고 항상 미완성이지. 완전한 것을 할 수 있는 것은 하느님뿐이니까.”

로비 공간에 약 101㎡ 규모로 조성된 기증실은 1차적으로 30여점을 선보이고 향후 교체 전시하게 된다. 2019년 서소문밖네거리 순교성지(서소문역사공원)에 개관한 박물관은 근대사상사와 천주교 전래 관련 유물을 소개해오다 최 작가의 기증을 통해 처음으로 대규모 미술품을 소장하게 됐다.

15일 개막식에서 정순택 대주교(서울대교구장)는 축사를 통해 “기증은 개인의 사유를 사회로 환원해서 공공의 것으로 만드는 고귀한 실천”이라면서 “시민사회 전체에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박물관의 원종현 야고보 관장신부는 “50년 세월에 걸쳐 교회 미술의 발전 뿐 아니라 예술가로서 구도의 길을 보여주는 작품을 고루 주셔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됐다”고 말했다. 전시는 무료.
최종태 작가의 '성모'. 종이에 먹과 수채, 2016. 한국 전통미를 계승한 현대 조각에서 2000년대 이후 회화, 드로잉으로 작품세계를 넓힌 작가가 최근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에 기증한 157점 중 하나다. 사진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


핫스팟
전편:한미 장남 임종윤 “OCI와 통합은 불완전 거래, 경영권 분쟁 소지 커”
다음 편:우리공화당 조원진 한동훈, 서문시장 오는 것 옳지 않다